봄 시장에 나가보니, 씀바귀가 눈에 띄네요. 동의보감에서 씀바귀는 고채라고 불리는데 눈을 밝게 해 주고 피를 맑게 해 주며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고 하네요. 씀바귀의 제철은 3월~4월로 뿌리부터 잎까지 모두 먹을 수 있는 식재료랍니다. 아낌없이 주는 씀바귀의 효능과 씀바귀 먹는 법 그리고 씀바귀로 만들 수 있는 씀바귀 요리까지 한번 알아보아요.
씀바귀의 효능
1. 항암효과
씀바귀의 특징으로 잎과 뿌리에는 쓴맛이 나는 식재료예요. 이 쓴맛을 돌게 하는 아눌린이라는 성분은 항암효과에 좋은 성분이랍니다.
2. 혈당조절
천연 인슐린이라고 불릴 정도로 씀바귀는 몸속의 혈당조절기능에 좋은 식재료예요. 따라서 음식섭취 후 혈당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조절해 주기 때문에 당뇨병을 가진 분들이 섭취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당뇨에 좋은 음식을 찾고 계시면 다음 글도 한번 읽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당뇨병에 좋은 음식과 식습관
당뇨는 당분이 높거나 탄수화물에 높은 음식은 혈당이 갑작스럽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조심해야 해요. 하지만 당뇨병에 좋은 음식은 설탕과 소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은 음식으로 음식
kkokkoddoyo.tistory.com
3. 노화방지
씀바귀에 들어 있는 시나로사이드 성분은 우리 몸 세포의 노화를 느리게 해주는 효과를 주는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 노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4. 혈관질환 예방
씀바귀에는 토코페놀, 시나로이드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기 때문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것 뿐만 아니라 혈관 노페물 배출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뇌졸증, 심근경색 등과 같은 혈관관련 질환을 예방해 주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5. 위장건강
씀바귀에는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어요. 뿐만아니라 칼륨, 당질, 칼슘, 비타민C 등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장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고 소화를 도와주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봄철에 입맛을 돋워주는 역할도 한답니다.
6. 해열작용
씀바귀는 해열에도 도움을 주는 식재료입니다. 따라서 몸속의 열순환을 돕기도 하고 폐렴, 종기, 간염 등의 치료를 위해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하기도 하는 식재료로 항염작용에도 도움을 준답니다.
씀바귀 부작용
씀바귀의 성분은 찬 성분이기 때문에 평소에 몸이 차거나 손과 발이 차가우신 분은 몸에 맞지 않아 너무 많이 먹었을 경우 복통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어요. 또한 꿀과 함께 먹는다면 씀바귀의 효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쓴맛 때문에 꿀과 함께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답니다.
씀바귀 먹는 법 그리고 씀바귀요리
씀바귀는 다양한 요리에 사용가능해요. 씀바귀를 이용한 씀바귀나물 무침, 씀바귀로 튀김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특히 씀바귀 쓴맛 때문에 꺼려지신다면, 배를 갈아 넣어서 나물을 무치면 쓴맛이 덜하기 때문에 먹기에 거부감이 들지 않아요. 이렇게 부친 씀바귀나물로 달래 등과 같은 다른 봄나물과 비빔밥을 해 먹어도 좋답니다.
이렇듯 씀바귀를 이용해서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먹을 수 있어요.
여기에서는 나물 본연의 맛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씀바귀나물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
씀바귀나물 무침
준비재료 : 씀바귀, 다진 마늘, 설탕, 매실청, 참기름, 통깨
1. 씀바귀를 깨끗하게 씻어내고 찬물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담가서 쓴맛을 빼 주세요.
2. 끓는 물에 소금 조금 넣고 씀바귀를 1분 정도 데쳐내고 찬물로 헹구어 열기를 없애고 물기를 빼주세요.
3. 큰 볼에 담은 씀바귀를 고추장1 큰 스푼, 다진마늘 1큰스푼, 매실청 1큰스푼, 설탕 4분의 1 스푼정도를 넣고 조물조물 무쳐주세요.
4. 마지막에 참기름을 반스푼정도 넣어 다시 한번 조물조물 무쳐주세요.
5. 씀바귀나물 무침 완성!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나나물, 유채나물의 효능 및 효과 하루나겉절이 만들기 (2) | 2024.04.09 |
---|---|
죽순 효능, 죽순 요리, 죽순 먹는법 (0) | 2023.04.25 |
세발나물 효능, 세발나물 요리, 세발나물 먹는법 (0) | 2023.04.25 |
고구마 효능, 고구마 먹는법, 고구마 요리 (0) | 2023.04.19 |
가죽나물 효능, 가죽나물 먹는법, 가죽나물 요리 (2) | 2023.04.17 |